TIP 각 항목을 클릭해 펼치세요. ⚠️ 오해 주의 박스는 꼭 확인!
보크(Balk) ❌
정의: 투수가 비정상적인 동작 또는 규정 위반으로 주자를 속이거나 투구·견제를 어기면 보크 선언.
- 효과: 주자가 있을 경우, 모든 주자는 1루씩 진루.
- 예시: 정지 없이 투구 / 견제하다 갑자기 멈춤 / 세트 포지션 불완전 등.
오해·주의: ‘보크=주자 있는 상태에서만 유효’
⚠️ 주자 없으면 보크 선언 없이 경고 또는 투구 무효 처리됨.
고의사구(Intentional Walk) 🎯
정의: 감독 또는 포수가 사인을 보내면 투수가 투구 없이 고의사구 허용 가능 (2017년 MLB 룰 개정 이후 적용).
- 방법: 감독이 심판에게 의사를 전달하거나 포수가 손을 뻗어 표시.
- 효과: 타자는 자동 1루 진루. 4개의 투구 생략.
KBO 포인트: KBO 역시 MLB와 동일하게 고의사구 자동 허용 제도 적용 중.
투수 교체 & 투구수 제한 🔄
규칙: 투수는 최소 1명의 타자를 상대해야 하며, 1이닝 이상 투구를 원칙으로 함. 경기 중 교체는 주로 부진, 전략 또는 부상 사유.
- KBO 제한: KBO 리그는 고교야구만 투구수 제한 존재 (성인 프로 리그는 없음).
- 예외: 부상 시 교체 가능, 5일 로테이션·불펜 운영 등은 팀 전략 영역.
세트 포지션(정지 동작) ⏸️
정의: 주자가 있을 때, 투수는 투구 전에 명확한 정지 동작을 취해야 함.
- 필수: 두 손이 합쳐진 후 1초 이상 멈춤 → 투구 진행.
- 위반 시: 보크 선언으로 주자 진루.
오해·주의: 정지 없이 바로 던지면 보크. 특히 퀵모션 시 주의 필요.
로진백 & 투수판 규정 🧤
로진백: 땀 흡수를 위한 흰색 가루주머니로, 마운드 뒤에 비치. 자유롭게 사용 가능.
투수판: 투수는 투수판(러버) 위에서만 정식 투구 가능. 일부 동작은 반드시 발이 접촉된 상태여야 함.
- 위반: 투수판에서 벗어난 채 투구하면 보크 또는 불법 투구로 판정될 수 있음.
투구 동작의 종류: 윈드업 vs 세트 ⚙️
윈드업: 주자 없을 때 사용. 큰 동작으로 체중 이동.
세트 포지션: 주자 있을 때 사용. 빠르고 간결한 동작.
실전 팁: 세트에서도 충분히 정지하지 않으면 보크!
동작보다 ‘정지의 유무’가 핵심.
투수의 공수교대 시 위치 변경 🔁
교대 시: 투수가 타자 → 수비로 바뀔 경우, 다시 마운드에 서려면 최소 1타자 이상 상대 후 가능.
- 예시: 투수가 외야로 이동 → 다른 투수가 등판 → 다시 마운드 복귀 가능 (단, 타자 상대 조건 충족 시).
KBO 특이점: KBO는 이 규정 적용에 엄격함.
단순 포지션 변경만으로 투수 마운드 재진입은 불가.